
| GMRC 신간 소식 (2025년 8월) | |
| 조회수 : 141 | 등록일 : 2025-06-20 |
|
『유럽의 국경사』는 총 5부 2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에서는 서유럽, 중부와 동부 유럽, 북유럽과 발트 해, 지중해의 항구도시, 유럽이 만든 세계의 국경들을 중심으로 경계의 역사를 펼쳐나간다.
1부 ‘서유럽’에서는 로마 제국과 게르만족 사이의 토이토부르크 숲과 관련된 ‘얽힌 역사’를 시작으로 유 럽의 심장이라 불리는 아헨과 유럽의 길목인 브뤼셀을 다룬다. 이어 권력의 틈바구니에서 실용적인 노선을 걷다 사라진 왕국 로타링기아, 알자스의 중심지 스트라스부르/스트라스부르크, 프랑스와 독일 양국의 민족 주의 발상지인 라인강, 마지막으로 공유 국경으로 자리 잡은 콘스탄츠 호수를 조망한다.
2부 ‘중부와 동부 유럽’에서는 사회·정치적으로 구성되어 온 국경선에 주목한다. 분단된 독일의 국경위원 회, 중심부와 주변부의 면모를 모두 지녔던 베를린, 영원한 변경으로 불리는 오스트리아에 이어 독일과 폴 란드를 가로지르는 오드라-니사강, 이주민들이 세운 체코 주데텐란트의 국경 마을 브로우모프, 유럽의 검 문소 헝가리, 영원한 국경이자 코자크인의 땅인 우크라이나를 다룬다.
3부 ‘북유럽과 발트해’에서는 발트해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다른 대양과 비교해 얼핏 ‘갇힌 바 다’로 보일 수 있지만, 발트해는 수많은 땅과 민족을 아우른 ‘유럽의 어머니’ 같은 존재다. 3부에서는 초경계 적 디아스포라인 발트해를 시작으로 칸트의 고향이자 이주의 도시, 칼리닌그라드를 들여다보고, 노브고로 드에 얽힌 기억 전쟁을 다루며 공존의 도시가 된 에스토니아 탈린, 국경 투표가 이뤄졌던 슐레스비히-홀슈 타인을 조명한다.
4부 ‘지중해의 항구도시’에서는 망명객과 예술가, 커피의 항구도시인 트리에스테를 살펴본 후 기습 점령 과 기억 전쟁에서 여전히 자유롭지 못한 리예카/피우메, 노르만족과 유대인, 무슬림이 공존했던 팔레르모, 십자군 왕국의 항구인 아크레를 소개한다. 지중해를 매개로 한 광범위한 조우 속에서, 이처럼 항구도시는 ‘사이 공간’으로 기능하며 나름의 질서와 교류 문화를 형성해 갔다.
5부 ‘유럽이 만든 세계의 국경들’에서는 제국주의 시대 유럽이 만든 세계의 국경선을 다룬다. 악순환에 빠 진 아이티와 도미니카의 갈등, 그레이트 게임의 희생양으로 그어진 아프가니스탄 듀랜드 라인, 인도와 파키 스탄을 나눈 래드클리프 국경선에 이어 중동의 화약고가 된 사이크스-피코 경계선, 마지막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국경사를 탐구한다. The History of European Borderlands is structured into five parts and twenty-eight chapters. Each chapter explor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boundaries, focusing on Western Europe, Central and Eastern Europe, Northern Europe and the Baltic Sea, the port cities of the Mediterranean, and the global borders shaped by European imperialism.
Part I: Western Europe begins with the “entangled history” of the Teutoburg Forest, a symbolic frontier between the Roman Empire and the Germanic tribes. It then turns to Aachen, often regarded as the heart of Europe, and Brussels, the gateway to the continent. Other focal points include the short-lived but pragmatic Kingdom of Lotharingia, positioned between rival powers; Strasbourg/Strassburg, at the crossroads of French and German claims; the Rhine River, birthplace of both French and German nationalism; and Lake Constance, which came to symbolize a shared border.
Part II: Central and Eastern Europe examines border dynamics shaped by socio-political transformations. Topics include the German Border Commission during the country’s division; Berlin as both center and periphery; and Austria, conceptualized as the “eternal frontier.” Also explored are the Oder–Neisse Line dividing Germany and Poland; Broumov, a Czech border town founded by migrants in the Sudetenland; Hungary as Europe's historical checkpoint; and Ukraine, portrayed as a perennial borderland and the homeland of the Cossacks.
Part III: Northern Europe and the Baltic Sea focuses on the Baltic Sea—a body of water that, while seemingly enclosed, functioned as a “mother of Europe” by connecting diverse lands and peoples. This section addresses the transboundary diasporas of the Baltic region; Kaliningrad as the hometown of Kant and a city of layered migrations; the “memory wars” surrounding Novgorod; Tallinn, Estonia, as a city of coexistence; and Schleswig-Holstein, a region shaped by plebiscites and competing national narratives.
Part IV: The Port Cities of the Mediterranean examines urban spaces that served as havens for exiles, artists, and traders. It includes Trieste, known as both a coffee port and a liminal cultural node; Rijeka/Fiume, still marked by occupations and mnemonic disputes; Palermo, once home to Normans, Jews, and Muslims in a shared urban space; and Acre, a key port in the Crusader kingdoms. These cities are presented as “in-between spaces” that developed their own forms of order and cultures of exchange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Mediterranean connectivity.
Part V: The World’s Borders Made by Europe addresses the global borders drawn during the age of imperialism and decolonization. It explores the enduring cycle of conflict between Haiti and the Dominican Republic; the imposition of the Durand Line on Afghanistan during the “Great Game”; the partition of the Indian subcontinent through the Radcliffe Line; the Sykes–Picot Agreement and its long-term destabilizing effects in the Middle East; and the complex, contested border history of Israel and Palestine.
|
|
|
첨부파일 : 보도자료_유럽의 국경사_08.04-복사.pd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