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l : 02-820-5090
· E-mail : jaehwanlee@cau.ac.kr
· 연구실 : 305관 502호
전공분야
강의과목
한국고대사의 탐구, 한국중세사의 탐구, 역사지리와 문화유산
주요경력
주요저서
저역서
- 『한국고대 문자자료연구 : 백제(상) -지역별-(한국목간학회 연구총서 01)』, 주류성, 2015(공저)
- 『신라의 통치제도(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연구총서 08)』,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공저)
- 『響き合う東アジア史』, 三谷 博·張翔·朴薰 編, 東京大学出版会, 2019(공저)
- 『문자와 고대 한국 1 기록과 지배』, 주류성, 2019(공저)
- 『문자와 고대 한국 2 교류와 생활』, 주류성, 2019(공저)
-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송기호 교수 정년기념논총』, 진인진, 2021(공저)
-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 ‘삼국통일’을 둘러싼 해석과 논쟁』, 역사비평사, 2023(공저)
논문
- 「傳仁容寺址 출토 ‘龍王’ 목간과 우물·연못에서의 제사의식」, 『木簡과 文字』 7, 2011
- 「한국 고대 ‘呪術木簡’의 연구 동향과 展望 -‘呪術木簡’을 찾아서-」, 『木簡과 文字』 10, 2013
- 「扶餘 陵山里寺址 유적 출토 목간 및 삭설」, 『木簡과 文字』 12, 2014
- 「「성주사 낭혜화상탑비」의 ‘得難’과 ‘五品’ 재검토」, 『木簡과 文字』 15, 2015
- 「新羅 眞骨의 ‘家系 分枝化’에 대한 재검토 –사위의 왕위계승권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127, 2017
- 「신라의 ‘골품제’, 그간의 논의와 약간의 전망」, 『한국고대사연구』 87, 2017
- 「신라 동궁 출토 14면체 酒令 주사위의 명문해석과 그 의미」, 『동서인문학』 54, 2018
- 「신라의 회의제와 상대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대구사학』 131, 2018
-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荷札의 성격에 대한 새로운 접근」, 『韓國史硏究』 182, 2018
- 「『三國史記』의 전쟁 표현과 정당성 인식의 차이」, 『역사와 담론』 88, 2018
- 「新羅의 宦官 官府에 대한 試論 -洗宅(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木簡과 文字』 21, 2018
- 「7세기 중·후반 동북아시아의 전쟁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역사비평』 126, 2019
- 「함안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과 力役 동원의 문서 행정」, 『木簡과 文字』 22, 2019
- 「‘통일신라’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한국고대사연구』 95, 2019
- 「한국 출토 목간의 분류와 정리 및 표준화 방안」, 『木簡과 文字』 23, 2019
- 「결국 동아시아사는, 아니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서평: 『투쟁의 장으로서의 고대사-동아시아사의 행방』,(이성시, 삼인, 2019)」, 『역사비평』 130, 2020
- 「고대 한반도의 목간문화 변용과 다면목간의 ‘편철’ - 漢簡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中央史論』 52, 2020
- 「고대 동아시아의 東宮과 신라 東宮」, 『한국고대사연구』 100, 2020
- 「咸安城山山城遺址出土的文書木簡與勞役調遣的文書行政」, 『簡帛研究』 二〇二〇(秋冬卷), 2020
- 「‘永樂 7年’ 판독에 기반한 <충주 고구려비>의 내용 검토와 충주 지역의 接境性」, 『木簡과 文字』 27, 2021
- 「가야계 ‘신라인’의 활동과 위상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105, 2022
- 「신라 왕경 출토 목간의 재조사 결과와 과제」, 『木簡과 文字』 28, 2022
- 「한반도 발견 목간의 형태 용어 검토」, 『木簡과 文字』 29, 2022
- 「四天王寺址 발견 치미 명문의 재판독과 ‘樓’의 비정」, 『한국상고사학보』 119, 2023
- 「2022 신라 역사학 연구 성과와 과제」, 『신라학 리뷰』 2, 2023
- 「백제·신라 목간의 집계와 범례의 제안」, 『木簡과 文字』 30, 2023